본문 바로가기

역사를보다

전주이씨-효령대군-청권사 발췌


<효령대군(孝寧大君) 존영(尊影) - 경기도 문화재 제81호 - 관악산 연주암 효령각 봉안>


1. 생애

대군께서는 1936년(태조5) 태종대왕과 원경왕후의 둘째 왕자로 태어나셧으며, 휘(諱)는 보(補) 자는 자는 선숙(善叔), 호는 연강(蓮江)이시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민첩하며 온화문명하고 효제충신의 자질를 갖추었고, 글읽기를 좋아하고 무예에도 능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12세에 효령군으로 봉군되시고, 좌찬성 정역공의 따님 이신 해주정씨와 혼인하셨으며, 17세에 효령대군으로 진봉되셨다.
효성이 지극하시어 부왕(태종대왕)의 사랑을 많이 받으셨고, 아우이신 충녕대군(세종대왕) 에게 성덕이 있음을 아시고 학문과 재덕을 숨기시면서 왕위를 겸손하게 사양하셨다.
조선왕조 개국 초기 억불숭유(抑佛崇儒)정책에 입각한 왕권확립과 종교변혁기에 동요하는 백성들의 민심이반을 총화로 이끌기 위해 유ㆍ불 조화론을 주창하셨고, 나라의 안정과 왕정의 토대를 굳건히 다지시며, 불서의 국역과 사찰의 증개축 및 법기 조성 등의 불사와 보국안민과 태평성대를 위하는 위업에 전념하셨다.

 특히, 백성들의 자치규범으로 ‘향헌(鄕憲)56조’를 제정하시어 대민강론으로 백성들의 윤리 도덕과 의식교화에 헌신하셨다. 또, 효에 대한 이론정립과 권계하실 목적으로 ‘부모은중장수태골경합부’를 사경하셨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국보2호인 ‘탑골공원의 원각사지 10층석탑’의 건립과 보물2호인 ‘보신각종’의 주조를 직접 감독하셨다.


[국보 제2호 - 원각사지 10층석탑]  [보물제2호-보신각종]


 그리고 옛 흥복사 터에 원각사를 짓게되자 그 역사를 주관하셨으며, 계정혜(戒定慧)에 바탕을 둔 불법의 수련을 독실히 하시 면서, 연주암(관악산), 무위사(월출산), 백련사(만덕산), 회암사(양주) 등의 많은 사찰을 중건ㆍ중수하셨으며, 문장에도 뛰어나 연화경(蓮華經), 금강경(金剛經),원각경(圓覺經) 등의 우리말 번역을 비롯하여 많은 호국불사를 주장하시고 불교발전에 지대하신 공적을 또한 남기셨다. 


[관악산 - 연주암]


대군께서는 왕자로서 당연히 누릴 수 있는 공명과 부귀영화를 저버리고 초탈하신 삶으로 한 평생 충(忠), 효(孝), 덕(德), 우애(友愛), 겸손(謙遜), 검소(儉素), 조화(調和), 화목(和睦) 등을 몸소 실천하시며 천수(天壽)를 사신 분이시다.
조선왕조를 창건하신 태조고황제로부터 9대 성종대왕에 이르기까지 아홉 분 임금님의 조정을 보필하시면서 명예와 재물을 탐하지 아니하시고 오로지 왕실의 번영과 나라발전에 공헌과 충성을 다하셨다.

대군께서는 위민정신의 실천자이며 진취정신의 선구자로 왕실의 정신적 지주로서 근본적인 역할을 다하셨으며, 왕실의 큰 어른으로서 존경과 예우를 받으시며 사시다가, 1486년(성종17년) 5월 11일 91세를 일기로 하세(下世)하셨으며, 시호(諡號)는 정효(靖孝)공이시다.

정효의 뜻은 너그럽기를 즐기며 고종명(考終命)한 것을 정(靖)이라하고, 지혜롭게 부모를 사랑하고 공경한 것을 효(孝)라 한다. 

슬하에 7남을 두셨으며 여섯째 아들 원천군(原川君)은 아우이신 성녕대군에게 출계시키셨다. 
손자 33인과 증손자 109인을 두셨으며,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예장(禮葬)되셨다. 


[청권사 - 서울 서초구 방배동]


또한, 배위이신 예성부부인 해주정씨는 좌찬성 정역(鄭易)공의 따님으로서 1394년 태어나 14세에 대군의 배필이 되셨다. 효순하고 현숙하시어 부덕(婦德)이 외명부 중에 으뜸이셨다. 대군을 정성껏 내조하시다가 1470년(성종1) 77세를 일기로 하세(下世)하셨다.

1737년 영조대왕께서 묘하에 사당을 세우게 하시고, 1789년 정조대왕께 서는 사당의 현판을 하사하셨으며, 1865년(고종2년) 종묘(宗廟) 공신당(功臣堂)의 세종대왕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되셨다. 


2. 연보

◎ 1396(태조 5)년    
       송경(松京)의 정안군궁(靖安君宮)에서 태종대왕과 원경왕후의 둘째왕자로 태어나심

◎ 1400(정종 2)년
 (5세)
       입학하심

◎ 1407(태종 7)년
 (12세)
       효령군(孝寧君)으로 작위를 받으심
       좌찬성 정역(鄭易)공의 따님이신 해주정씨와 혼인하심

◎ 1408(태종 8)년
 (13세)
       연비어약(鳶飛魚躍), 용반호거(龍盤虎踞) 등의 4자 명구(24자)를 쓰심
       5월 24일 태조고황제께서 승하하심
       대군께서 부왕(父王)에게 아뢰어 백금 2만냥을 하사받아 금강산 유점사 3천 칸을 중건하게 하심

◎ 1409(태종 9)년
 (14세)
       선소오매패(宣召烏梅牌)를 하사 받으심

◎ 1411(태종11)년
 (16세)  
       제1자 의성군(誼城君)이 출생하심

◎ 1412(태종12)년
 (17세)
       효령대군으로 진봉되시고, 부인은 숙의옹주(淑懿翁主)정씨로 봉작되심
       평강(平康)강무(講武)때 뛰어난 활솜씨를 보임

◎ 1413(태종13)년
 (18세)
       서원군(瑞原君)이 출생하심

◎ 1414(태종14)년
 (19세)
       휘자 호(祜)를 보(補)로 고치심

◎ 1416(태종16)년
 (21세)
       제3자 보성군(寶城君)이 출생하심

◎ 1417(태종17)년
 (22세)
       대군의 품계 대광보국(大匡輔國)에, 부인은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으로 각각 개봉되심
       제4자 낙안군(樂安君)이 출생하심

◎ 1418(태종18)년
 (23세)
       충녕대군(세종대왕)에게 성덕이 있음을 알고 학문과 재덕을 숨기고 가부좌로 합장(合掌)하며 왕위를 겸손하게
       사양하심 아우이신 성녕대군 하세하심

◎ 1419(세종 1)년
 (24세)
       명신(名臣)에 녹선되심 (양녕대군ㆍ하륜ㆍ박은 등과 함께)
       정종대왕께서 승하하심

◎ 1420(세종 2)년
 (25세)
       7월 10일 모후이신 원경왕후(元敬王后) 승하하심

◎ 1422(세종 4)년
 (27세)  
       5월 10일 부왕이신 태종대왕(太宗大王) 승하하심
       제5자 영천군(永川君)이 출생하심

◎ 1423(세종 5)년
 (28세)
       명나라 사신을 위한 영접연에 효령대군께서 세종대왕에게 술잔을 권하시자 세종대왕이 일어나 술잔을 받으시매
       이를 본 명나라사신이 의아해 물으니 접반사 황희 정승이 이르기를 임금과 신하의 구분이 비록 엄격하여야 하지만
       형님에 대한 예의 또한 존귀한 것이라고 설명하자 명나라 사신은 형제우애의 아름다움 참모습에 크게 감동했다.
       제6자 원천군(原川君)이 출생하심

◎ 1424(세종 6)년
 (29세)
       서강(한강)에 합강정(合江亭)을 세우심

◎ 1425(세종 7)년
 (30세)
       5월 13일 세종대왕이 합강정에 거둥, 단비가 오자 정자 이름을 "희우정(喜雨亭)"이 라 고쳐주심

◎ 1428(세종10)년
 (33세)
       선원전에 수용(容) 및 선원록을 봉안하심
       윤12월 문소전(文昭殿) 친제(親祭)때 종헌관으로 헌작하심

◎ 1429(세종11)년
 (34세)
       관악산 연주암을 삼창(三創)하시고, 약사여래상ㆍ미륵존상ㆍ3층석탑 등을 조성하심

◎ 1430(세종12)년
 (35세)
       월출산 무위사 중창을 지유하심
       만덕산 백련사 중창에 대공덕주로 추대되심
       제7자 안강도정(安康都正)이 평해손씨에서 출생하심

◎ 1432(세종14)년
 (37세)  
       한강에서 수륙재(水陸齋)를 거행하심
       부인해주정씨의 작호가 삼한국대부인에서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으로 개봉되심

◎ 1434(세종16)년
 (39세)
       회암사를 중수하시고 원각경을 설법하심
       연강(蓮江)이라 작호(作號)하심

◎ 1435(세종17)년
 (40세)
       5월 흥천사 탑전의 보수를 주장(主掌)하심

◎ 1438(세종20)년
 (43세)
       효령대군의 환후가 완쾌되시자 세종대왕께서 기뻐하시며 잔치를 베푸시고 효령대군과 손을 마주잡고 정겨운
       눈물을 흘리셨다. 부모은중장수태골경합부를 사경하심 (천안 광덕사)

◎ 1440(세종22)년
 (45세)
       흥천사에서 경찬회를 주관하심

◎ 1446(세종28)년
 (51세)
       세종대왕비 소헌왕후(심씨)께서 승하하심

◎ 1447(세종29)년
 (52세)
       곡성 태안사 대발(바라)을 조성하심

◎ 1449(세종31)년
 (54세)
       12월 속리산 복천사(福泉寺)중수보권문 반포하심

◎ 1450(세종32)년
 (55세)
       2월 세종대왕께서 승하하심

◎ 1453(단종1)년
 (57세)  
       용문산 상원사 범종 주조를 재물을 보시하심 (1461(세조7)년 준공)
       문종대왕께서 승하하심

◎ 1454(단종2)년
 59세)
       3월 곡성 태안사 대발(바라)을 개조하시고 대공덕주가 되심

◎ 1457(세조 3)년
 (62세)
       2월 정암산 법천사의 불상조상을 권선하심
       10월 단종대왕께서 영월에서 승하하심

◎ 1458(세조 4)년
 (63세)
       4월 8일 태조고황제께서 1398(태조7)에 지으신 함흥선향헌목의 서문을 지으심

◎ 1461(세조 7)년
 (66세)
       천안 광덕사에 주석하실 때 석가여래 사리가 분신하고 상서로운 일이 일어나 분신사리 25과를 세조대왕에게
       진상하심 흥천사 대종 주조 도제조가 되시어 감동(監董)하심

◎ 1462(세조 8)년
 (67세)

       3월 부안 변산 실상사 삼존불 조성을 권선하심
       10월 세조대왕과 같이 대군의 농장에 이른 후 미지산 상원사 (대군의 원찰)에 거둥 하셨는데 서기(瑞氣)가 발하고
       관음상(觀音像)이 현신하심.
       형님이신 양녕대군께서 하세하심

◎ 1463(세조 9)년
 (68세)
       법화경(法華經)을 언해하시고 교정을 보심

◎ 1464(세조10)년
 (69세)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을 언해하시고 수교하심
       금강경(金剛經)’을 언해하심.
       2월 28일 어가를 따라 속리산 복천사에 행차하시어 왕실원찰 중수에 보시하심
       5월 회암사에서 원각경설법시에 부처님 형상이 나타나고 감로등 기이현상이 일어났으며 사리가 분신되어 사리를
       함원전(含元殿)에 공양하심
       원각사(圓覺寺) 조성도감 도제조가 되심.

◎ 1465(세조11)년
 (70세)
       원각경(圓覺經)을 언해하시고 교정하심.
       원각사 낙성회에서 梅月堂(김시습)을 부르심.

◎ 1466(세조12)년
 (71세)
       3월 21일 금강산 표훈사에서 수륙재를 올릴 때 사리와 서기 상운 등 기이현상이일어남.
       윤 3월 17일 세조대왕이 오대산 상원사에 거둥하실 때 대군께서 세자 영웅대군 등과 함께 수행하심

◎ 1467(세조13)년
 (72세)
       원각사대종(보신각종)주조를 주장(主掌)하심.
       4월 8일 효령대군께서 감독하여 세운 원각사 10층 석탑이 준공되어 연등회가 열였음.

◎ 1468(세조14)년
 (73세)
       7월 세조대왕께서 효령대군 집에 피접하시고, 8월에 환궁하심
       9월 세조대왕께서 승하하심

◎ 1469(예종 1)년
 (74세)
       향헌(鄕憲) 56조 제정과 대민강론으로 상행(常行)케 하심.
       완주 화암사의 시왕경(十王經)간행에 보시하심.
       예종대왕께서 승하하심
       금강산 유점사 대종주조 도제조를 맡으심

◎ 1470(성종 1)년
 (75세)  
       8월 예성부부인 해주정씨께서 하세하심

◎ 1476(성종 7)년
 (81세)
       3월 9일 성종대왕의 위로연과 폐백을 하사 받으심
       5월 종친의 승품법을 건의하심.

◎ 1482(성종13)년
 (87세)
       강진 만덕사(萬德寺)에 조종영세(祖宗永世)의 수륙재를 올릴 수 있도록 전답 10결(약31,000평)을 시주하심

◎ 1486년(성종17)
 (91세)
       5월11일 하세하심
       서초구 방배동에 예장되심
       「정효공(靖孝公)」으로 증시(贈諡)되심



3. 청권(淸權)의 유래

[현판 - 청권사]


청권(淸權)이란 주(周)나라의 태왕(太王)이 맏아들 태백(泰伯)과 둘째아들 우중(虞仲)을 두고, 셋째아들 계력(季歷)에게 왕위를 물
려 주려하자, 태백과 우중 두 형제는 부왕의 뜻을 알고, 형만(荊蠻)으로 가서 삭발(削髮) 문신(紋身) 은거(隱居)하며 왕위를 사양한
일을 후일에 공자 (孔子)께서 태백을 ‘지덕(至德)’, 우중을 ‘청권(淸權)’이라고 칭찬하였다.

양녕대군께서 세자의 자리를 양위하시자, 효령대군께서도 충녕대군(세종대왕)에게 성덕이 있음을 아시고 가부좌로 합장하며 왕위를 겸손하게 사양하셨다. 주(周)나라를 떠나서 삭발ㆍ문신ㆍ은거한 태백과 우중의 처신과, 왕위를 선양하면서도 충ㆍ효에 지극하셨던 양녕ㆍ효령대군의 처신과 사상이야말로 태백과 우중보다 더 높고, 넓고, 차원이 다르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세종대왕(世宗大王)께서도 희우정(喜雨亭)의 사패문(賜牌文)에 이르시기를 ‘태백과 우중은 주나라에 어진 분이시다. 능히 천하를
양보하고 문신한 채 형만에서 살면서 인(仁)을 이루어 공자께서 칭찬한 것이다. 수 천년이 지난 후 그 이름을 듣고 그 의로움을 우
러렀으나 아득히 그 사람을 보지 못하였더니 이제 양녕(讓寧)과 효령(孝寧) 두 대군에게서 본다. 양 대군은 곧 나의 형님이시다’ 라
칭송하셨다. 이러한 연유와 유래가 근거되어 정조대왕이 효령대군의 사당을 청권사(淸權祠)라고 사액(賜額)하셨다.

또한, 종묘 배향(宗廟配享)을 청하는 소(疏)에 수 백년 동안 양녕ㆍ효령 두 대군이 아름답게 쌍으로 지덕과 청권은 형이요 아우라고 기록되어있다.


4. 효령대군 향헌(鄕憲) 56조(선21 + 악35)


[향헌 56조]

효령대군께서 1458년(세조4년)에 백성들의 자치규범으로 향헌(鄕憲) 56조를 제정하시어 대민강론을 통해 백성들의 윤리도덕과 의식교화에 전심전력으로 헌신하셨다. 

또한, 대군께서 하세(下世)하신 후 1489년(성종20년)에는 전국단위 각 군(各郡)에 향청(鄕廳)이 설치되었고, 1519(중종14년)에는 전국에 향헌법이 시행되었다. 효령대군 향헌은 자주정신의 표상이자 창조정신의 발로이다.

※ 효령대군께서 제정하신 향헌 56조는 ‘선목 21조’와 ‘악목 35조’로 구분되어 있다. 선목(善目)은 백성으로서 반드시 지키고 실천해야 할 선행이며, 악목(惡目)은 백성으로서 절대로 행동해서는 안 되는 악행이다. 선행과 악행의 대별구조를 통해 백성들로 하여금, 스스로 좌표를 설정하고, 비교ㆍ반추ㆍ실천하도록 보다 한 차원 높게 강조 교육하였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 



> 선목(善目) 21조

 1. 父母孝養(부모효양): 부모를 효성으로 봉양해야 한다
 2. 土主尊敬(토주존경): 자기 고을의 수령을 존경해야 한다
 3. 夫妻和順(부처화순): 부부간에는 화합하고 순량해야 한다
 4. 男女有別(남녀유별): 남녀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 한다
 5. 少長有序(소장유서): 어른과 젊은이 사이에는 질서가 있어야 한다
 6. 朋友有信(붕우유신): 친구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7. 喪祭誠敬(상제성경): 상례와 제례는 경건하고 정성을 다해야 한다
 8. 隣里和同(인리화동): 이웃간에 서로 돕고 화목해야 한다
 9. 敬老慈幼(경로자유): 노인을 공경하고 어린이를 사랑해야 한다
10. 學書通古(학서통고): 글을 배워서 옛것을 익혀야 한다
11. 患難相救(환난상구): 재난이 있을 때는 서로 구제해야 한다
12. 婚姻相助(혼인상조): 혼인의 경사에는 서로 협조해야 한다
13. 臨亂執節(임란집절): 국난이 있을 때는 충절을 지켜야 한다
14. 官事勤儉(관사근검): 공직자는 부지런하며 검소해야 한다
15. 受人寄託(수인기탁): 남의 충고를 받아드릴 줄 알아야 한다
16. 持身廉勤(지신염근): 튼튼한 몸과 근면성을 겸비해야 한다
17. 見善必行(견선필행): 옳은 일은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
18. 聞過必改(문과필개): 허물이 있으면 반드시 고쳐야 한다
19. 務農節用(무농절용): 농사에 힘쓰고 절약하여 사용한다.
20. 田畔相讓(전반상양): 토지의 경계는 서로 양보해야 한다
21. 學書習武(학서습무): 글을 배우며 무술을 익혀야 한다. 

> 악목(惡目) 35조

 1. 父母不孝(부모불효): 부모에게 불효하는 행위
 2. 疎薄正妻(소박정처): 이유 없이 본처를 박대하는 행위
 3. 妻妾背夫(처첩배부): 부인이 남편을 배반하는 행위
 4. 土主不敬(토주불경): 자기고을의 수령을 존경하지 않은 행위
 5. 男女無別(남녀무별): 남녀간에 분별없는 행위
 6. 朋友不信(붕우불신): 친구간에 신의를 지키지 않는 행위
 7. 兄弟不和(형제불화): 형제간에 화목하지 않는 행위
 8. 隣里不睦(인리불목): 이웃간에 화목하지 않는 행위
 9. 患難不救(환난불구): 재난이 있을 때 서로 구제하지 않는 행위
10. 竊人妻妾(절인처첩): 남의 부인을 빼앗아 농락하는 행위
11. 婚姻不助(혼인불조): 혼인의 경사에 부조하지 않는 행위
12. 盜賊害物(도적해물): 재물을 훔치며 해치는 행위
13. 喪祭不謹(상제불근): 초상이나 제사에 불경한 행위
14. 官員欺罔(관원기망): 공직자를 속이는 행위
15. 官事不勤(관사불근): 공직자로서 근무를 소홀히 하는 행위
16. 寄託不受(기탁불수): 남의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는 행위
17. 無故闕防(무고궐방): 이유 없이 방위의무를 하지 않는 행위
18. 好訟行讒(호송행참): 송사를 좋아하고 남을 모략하는 행위
19. 旅師弄權(여사롱권): 군관이 직권을 남용하는 행위
20. 妓生作妾(기생작첩): 기생을 첩으로 삼는 행위
21. 爭鬪相殘(쟁투상잔): 다투고 싸우며 모질게 하는 행위
22. 奸吏作弊(간이작폐): 공직자가 간교하게 민폐를 끼치는 행위
23. 賄賂干請(회뢰간청): 뇌물을 주면서 청탁하는 행위
24. 以强凌弱(이강릉약): 강 한자가 약 한자를 업신여기는 행위
25. 以少凌長(이소능장): 젊은 사람이 노인을 업신여기는 행위
26. 賤人交友(천인교우): 천박한 사람을 친구로 사귀는 행위
27. 以賤凌貴(이천능귀): 윗사람을 업신여기고 깔보는 행위
28. 行己無恥(행기무치): 자기의 잘못을 뉘우칠 줄 모르는 행위
29. 以惡凌善(이악능선): 악으로써 선행을 업신여기는 행위
30. 憑公營私(빙공영사): 공무를 하면서 사욕을 챙기는 행위
31. 冠服無章(관복무장): 직품에 맞지 않는 의관을 착용하는 행위
32. 田畔相侵(전반상침): 남의 토지경계를 부당하게 침범하는 행위
33. 知非謬擧(지비류거): 그릇된 줄 알면서 남에게 알선하는 행위
34. 挾私論人(협사론인): 사적인 감정으로 타인을 논평하는 행위
35. 惰農虛費(타농허비): 농사를 게을리 하고 헛되이 낭비하는 행위



참고자료

http://www.hyor.or.kr/sub6/CH6101W.asp?link=a

청권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