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을보다/구조시공

2. 기단의 구조

기단의 구조는 크게 자연석기단, 장대석기단 및 가구식기단으로 구분한다.

1. 자연석기단

 : 살림집과 사찰건물에서 자연석 기단을 볼 수 있는데 안동 양진당, 의성 김씨종택 등이 있다. 또 사찰 건물에서는 봉정사 대웅전, 쌍계사 대웅전, 전등사 대웅전, 금산사 미륵전, 화암사 극락전,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환성사 대웅전, 위봉사 보광명전, 내소사 대웅보전 등이 있다. 

 

[민가의 자연석기단]  [은혜사 거조암 영산전 기단]

 

가. 하부구조

하부구조

지정

- 주로 지대석 하부에 줄기초로 설치

- 지대석 유동방지

지대석

- 하부지면에 1/3이상 묻히도록 설치

- 지대석이 없는 경우가 많음

- 밀리지 않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감.

하부지면

- 기단 외측으로 약간 구배를 줌

 

나. 중부구조

중부구조

면석구조

민가

- 기단 높이 2자 정도

 

- 가공하지 않은 자연석 사용

 

- 면석과 면석사이 흙 충진 쌓음

우수유입시 토출, 팽창, 유실, 빙결시 흙 누출유발

사찰

- 자연석 그레질하여 쌓음

조금씩 가공

- 면석과 면석사이 흙 충진 없음

조그만 자연석으로 틈새마감

- 가시성 고려

정면-측면위주, 배면은 아닌 경우도 있음.

공통

- 최상부 면석은 구조적으로 뒤뿌리가 길게 시공

뒤채움구조

- 잡석으로 뒤채움하고 작은 자갈로 사춤

 

- 시멘트 몰탈은 제거

- 시멘트의 알칼리성은 돌(石)의 백화현상을 유발

다. 상부구조

상부구조

상부마감재료

- 흙다짐 또는 삼화토 다짐

 

상면 구배

- 건물 내측에서 외측으로 구배(약1/50정도)

일반적으로 고막이쪽이 약 5cm 높음

- 건물 배면에서 전면으로 구배

산지사찰 등에서 나타남

기단 높이

- 건물의 의장성, 주변 건물의 높이등으로 고려

 

- 기단 상면은 초석보다 3치이상 낮게 설치

 

기단넓이/내밀기

- 가시성과 활용적 측면 고려

정면-측면을 넓게, 배면은 활용도에 따라서

- 처마선보다 안쪽으로 설치

내밀기는 3~4자 정도, 기단상부 직접 낙수 방지

- 상부 지붕 구조와 관계

맞배지붕의 측면 박공 내밀기가 짧으면 측면기단이 미관상 문제

라. 기타구조

기타구조

배수로

위치

- 기단과 배면 석축사이
- 기단과 배면 석축사이 간격이 좁은 경우가 많음.(암거형식)

벽체

- 자연석 또는 가공된 화강석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쌓음
- 강릉객사문 배수로의 특징

바닥

- 흙바닥, 강회다짐 또는 박석 설치
- 배수가 되는 방향으로 바닥에 일정한 구배를 줌
- 유공관 삽입

배수로 설치 시 유의사항

-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게 설치
- 배수 수용량 고려(강수량*1.5(통상))-집중호우예상-신중한고려
- 산을 절토하여 배면석축을 만든 경우-윗경사지에 1차배수로설치

* 궁궐의 배수로

 

주위환경

통기성 고려 및 배수로 공간 확보

- 습기 잔존에 따른 문제

통기성 저해요소 제거

- 기단 앞 화단, 대나무등 제거

 

2. 장대석기단

: 장대석기단은 신분상징의 절묘한 조화를 중요시하는 기단으로 주로 줄기초로 설치되는 기단이다. 자연석기단에 비하여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요하는 기단이며, 면석의 마찰저항력이 자연석기단에 비해 낮아지게 되어 면석의 가공방법이 중요하다.

봉정사극락전과 같이 사찰의 주요건물 중 연대가 오래된 건물들의 기단, 궁궐내 민가등에서 주로 보인다.

 

[봉정사극락전-장대석기단]

봉정사 극락전은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목조건물로 고식에서 나오는 장대석기단의 특징을 모두 갖춘 예이다. 상부에 면석으로 처리한 것이 특징이다.

 

 [운현궁 노안당의 장대석기단]

궁궐은 아니지만 당시 왕의 아버지로서 세도를 누리던 흥선대원군이 나이들어 거쳐하던 노안당의 장대석기단이다. 우측방향의 전축으로 문양을 넣은 것이 당시 사가에서는 보기 힘든 권력의 상징을 보여준다.

 

[장대석기단]

 모든 기단은 퇴물림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된다. 구조적인 안정감과 상층부에 올라서는 가구식구조의 건물로 모든 시선이 집중되도록하는 상승의 효과도 보여주는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퇴물림은 그림에서 처럼 부드럽게 각을 줄여나가는 경우와 오히려 반대방향으로 각을 죽여 쌓아 올리는 방식이 있다.
장대석 기단에서 중요한 요소는 고식에서 주로나오는 상부 모서리부분의 처리를 통으로 깍아내는 귀틀석을 사용하는 것을 알수있다.

가. 하부구조

하부

지정

- 주로 지대석 하부에 줄기초로 설치

- 지대석 유동방지

지대석

- 하부지면에 1/3이상 묻히도록 설치

- 지대석이 없는 경우가 많음

- 밀리지 않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감.

- 구조적 분리 - 지대석설치방안고려

하부지면

- 기단 외측으로 약간 구배를 줌

 

 

나. 중부구조

면석구조

길이

3~5자 정도

 

높이

기단의 정면 높이를 고려

- 면석의 춤을 결정

나비

춤보다 나비가 큰 장방형 구조
모서리 부분의 장대석

 

- 구조보강(하중이 많은 곳)

쌓기 방법

3~6푼 퇴물림 쌓기

 

기타

월대

* 개요참조

면석가공방법

- 갓테다듬기(둥글리기) - 현장에서는 기계가공

- 표면 정다듬기

- 숨은면 다듬기 - 1~2치

뒤채움구조

- 잡석으로 뒤채움

 

- 시멘트 몰탈은 제거

- 시멘트의 알칼리성은 돌(石)의 백화현상을 유발

갑석구조

하부에 ‘ㄱ’ 자형 턱쇠시리

- 상부에 박석설치 턱마련

귀틀석(모서리돌)

 

 

다. 상부구조

상부마감재료

- 강회다짐, 방전, 박석

- 권위적 의미 - 고급화재료 사용

방전/박석구조

- 방전, 박석의 크기

- 기단상부 면적고려, 보수는 원형대로

- 기단 갑석과의 결구

-계획 신축시 - 고막이쪽 방전 작은 크기 방지

- 초석 결구 부분

그레질

상면 구배

- 건물 내측에서 외측으로 구배(약1/50정도)

일반적으로 고막이쪽이 약 5cm 높음

- 건물 배면에서 전면으로 구배

 

기단 높이

건물의 의장성, 주변 건물의 높이 등으로 고려

 

기단넓이
/내밀기

- 가시성과 활용적 측면 고려

정면-측면을 넓게, 배면은 활용도에 따라서

- 처마선보다 안쪽으로 설치

내밀기는 3~4자 정도, 기단상부 직접 낙수 방지

- 상부 지붕 구조와 관계

맞배지붕의 측면 박공 내밀기가 짧으면 측면기단이 미관상 문제

 

라. 기타구조

계단과의 결구

* 계단 구조 참조

 

배수로

위치

- 기단과 배면 석축사이
- 기단과 배면 석축사이 간격이 좁은 경우가 많음.
   (암거형식)

벽체

- 자연석 또는 가공된 화강석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쌓음
- 강릉객사문 배수로의 특징

바닥

- 흙바닥, 강회다짐 또는 박석 설치
- 배수가 되는 방향으로 바닥에 일정한 구배를 줌
- 유공관 삽입

배수로 설치 시 유의사항

-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게 설치
- 배수 수용량 고려(강수량*1.5(통상))
-집중호우예상
-신중한고려
- 산을 절토하여 배면석축을 만든 경우
-윗경사지에 1차배수로설치

* 궁궐의 배수로

 

주위환경

통기성 고려 및 배수로 공간 확보

- 습기 잔존에 따른 문제

통기성 저해요소 제거

- 기단 앞 화단, 대나무등 제거

 

3. 가구식구조

: 가구식구조는 말 그대로 짜맞추어 만들어지는 기단의 구조를 말한다. 주로 고식에서 나타나는 기단의 형식으로 장대석기단과의 차이점은 결구가 있으며, 상부와 측면부에 면석을 끼워 맞춘다. 면석을 활용하여 화려하게 장식을 하기도 한다.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대웅전이다.

사찰의 최고의 법당답게 중앙부를 중심으로 3개의 계단을 가진 전형적인 정면5칸 측면5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조선 후기에 중수된 건물이다.

기단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지대석, 면석, 갑석을 고루 갖춘 4개의 면에 모두 계단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부석사 무량수전]

국보제18호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이다.  정면5칸, 측면3칸, 단층 팔작 주심포계의 대표적인 사찰건물이다.

본디 부석사는 676년(문무왕16년)에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건립한 것으로 우리나라 역사에서 고식을 대표하는 중요 건물이다.

기단은 낮은편이지만 기단 면석을 지니고 있다.

*특이점으로는 건물은 남향이고 불상은 동향을 보고 있다.

 

[무량수전 계단부와 면석]

가까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세월이 흘러 이끼와 함께 오래됨을 보여주는 면석과 상부기단갑석을 볼수있다.

면석부에 기둥석이 없는 형태의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이다.

 

 

 

 

 

[무량수전 상부방전]

상부 방전의 모습이다.

고막이(하인방쪽방향) 쪽으로 갈수록 약 5cm의 구배가 있다.

초석에 보이는 기둥받침과 고막이초석이 고식임을 알려준다.

 

 

 

 

가. 하부구조

하부

지정

- 주로 지대석 하부에 줄기초로 설치

- 지대석 유동방지

지대석

- 하부지면에 1/3이상 묻히도록 설치

- 면석이 결구되는 턱마련

- 상부에 갑석 턱쇠시리와 대칭되게 턱마련

 

- 결구를 만들어 줌.

하부지면

- 기단 외측으로 약간 구배를 줌

 

나. 중부구조

면석구조

면석

두께가 두껍고 배부른 형태

 

기둥석

측면에 면석이 끼워질 턱 마련

 

결구부보강

삼국~통신 석탑기단에서 주로

- 2단 가구식 위주

면석과 기둥석 구조의 시대적 특징

삼국~통신 초기

통도사 대웅전(기단)

통일신라 후기

 

고려시대 이후

 

* 기둥석

백제 - 미륵사지 동서금당, 탑기단
통신 - 감은사지 금당, 성주사지 금당
거둔사지 금당
고려 - 부석사 무량수전
조선 - 쌍봉사 대웅전

 

* 기둥석

통신 - 불국사 대웅전, 극락전
통도사 대웅전

 

뒤채움구조

- 잡석으로 뒤채움

 

- 시멘트 몰탈은 제거

- 시멘트의 알칼리성은 돌(石)의 백화현상을 유발

갑석구조

하부에 ‘ㄱ’ 자형 턱쇠시리

- 상부에 박석설치 턱마련

다. 상부구조

상부마감재료

- 박석설치

- 갑석에 턱이 있음

방전/박석구조

- 방전, 박석의 크기

- 기단상부 면적고려, 보수는 원형대로

- 기단 갑석과의 결구

-계획 신축시 - 고막이쪽 방전 작은 크기 방지

- 초석 결구 부분

그레질

상면 구배

- 건물 내측에서 외측으로 구배(약1/50정도)

일반적으로 고막이쪽이 약 5cm 높음

- 건물 배면에서 전면으로 구배

 

기단 높이

건물의 의장성, 주변 건물의 높이 등으로 고려

 

기단넓이/내밀기

- 가시성과 활용적 측면 고려

정면-측면을 넓게, 배면은 활용도에 따라서

- 처마선보다 안쪽으로 설치

내밀기는 3~4자 정도, 기단상부 직접 낙수 방지

- 상부 지붕 구조와 관계

맞배지붕의 측면 박공 내밀기가 짧으면 측면기단이 미관상 문제

라. 기타구조

계단과의 결구

* 계단 구조 참조

 

배수로

위치

- 기단과 배면 석축사이
- 기단과 배면 석축사이 간격이 좁은 경우가 많음.
  (암거형식)

벽체

- 자연석 또는 가공된 화강석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쌓음
- 강릉객사문 배수로의 특징

바닥

- 흙바닥, 강회다짐 또는 박석 설치
- 배수가 되는 방향으로 바닥에 일정한 구배를 줌
- 유공관 삽입

배수로 설치 시 유의사항

-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게 설치
- 배수 수용량 고려(강수량*1.5(통상))
- 집중호우예상-신중한고려
- 산을 절토하여 배면석축을 만든 경우
- 윗경사지에 1차배수로설치

* 궁궐의 배수로

 

주위환경

통기성 고려 및 배수로 공간 확보

- 습기 잔존에 따른 문제

통기성 저해요소 제거

- 기단 앞 화단, 대나무등 제거

 

이상으로 기단에 대해서 개요와 구조를 알아보았다.

 

다음은 기단이지만 특별한 양식으로 존재하는 월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전통을보다 > 구조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월대  (1) 2012.10.01
1. 기단의 개요  (0) 2012.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