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를보다

조선 500년 년표


 

[세종대왕 어진]



조선 역사 연표


1392년  이성계 수창궁에서 즉위
1393년  국호를 조선으로 결정
1394년  정도전 [조선경국전] 편찬
1396년  한성 도성 완성 
1397년  정도전 [경제육전] 간행
1398년  전국적으로 양전 실시
            성균관의 문묘와 명륜당 건립
            제1차 왕자의 난(무인정사)
1399년  명의 연호 건원 사용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
            사병혁파
1401년  신문고를 처음으로 설치
1402년  무과의 과거를 처음으로 실시
            저화 유통 시작
            호폐법 실시 
1403년  주자소 설치, 계미자 제작

1405년  의정부의 서무를 6조에 귀속시킴
1407년  백관의 녹과를 정함
1408년  명나라사신이 와서 미녀를 구함, 동녀 징집
1410년  주자소에서 서적 간행, 판매
            시전을 정함
1412년  경회루를 새로 지음
            의홍부를 폐지하고 병조에서 군정을 맡음
            도성 좌우행랑 472칸 완성
            조운법 시행


1413년  호패법을 정함
1414년  의정부에서 담당하던 업무를 6조에 귀속시킴
1415년  김제 벽골제 중수
1416년  백관의 관복을 정함
            도첩제 실시
1417년  과전의 3분의 1을 하삼도로 이급
            [향약구급방] 중간
1418년  처음으로 경연을 실시
1419년  이종무, 대마도 정벌
1420년  집현전 설치
1423년  재인. 화척을 백정으로 개칭
            지방 의녀를 제생원에서 학습시킴
            조선통보 주조
1424년  선, 교 양종 36사로 정리
1426년  한성부에 큰 불, 방화법 제정
            공노비에게 출산 후 100일 휴가
1428년  결부제를 정함


1429년  정초, [농사직설] 저술,
            상고행상에 대한 납세법을 전국에 실시
1431년  4품 이상을 대부, 5품 이하를 사라 칭함
1432년  맹사성 등 [ 신찬팔도지리지], [세종실
            록지리지]편찬
            [삼강행실도] 편찬
            간의대 축조
1434년  4군6진 완성
            갑인자 제작
            앙부일구로 시간 측정, 자격루 설치
1435년  비격진천뢰 발명
1436년  의정부 서사제 회복
            대, 중, 소호, 편성 규정 개정
1437년  공법 실시
1438년  김시습의 [금오신화]간행
1440년  성혼기를 남 16세, 여 14세 이상으로 정함
1441년  측우기 설치하고 양수표 세움


1443년  계해약조 체결
            훈민정음 창제
1444년  전분 6등, 연분 9등제를 정함
            [칠정산내외편] 간행
1445년  [용비어천가], [의방유취] 편찬
1446년  훈민정음 반포
            대성산 근거로 민란 발생
1447년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완성
1448년  [총통등록] 편찬, 비장케 함
1452년  김종서 등 [고려사 절요] 편찬
1453년  수양대군, 김종서 등을 죽이고 정권 장악
            (계유정란)
1454년  계룡산에서 철화분청 제작 시작
1455년  의정부 서사제 폐지, 6조 직계제 부활
1456년  사육신 처형됨
1458년  [국조보감] 완성
            진관제 실시
            [고려사]완성


1460년  [경국대전] 호전 간행
            신숙주 , 여진 정벌
            하삼도민 4500호 북방 사민
1461년  공물의 대납을 금함
            간경도감 설치 
1462년  군적이 작성됨
1463년  홍문관을 세움
            [동국지도] 찬진
1464년  전폐 주조
1466년  직전법 실시
1467년  잡색군을 둠
            원각사 10층석탑 건립
            이시애 반란
            규형, 인지의 제작
1468년  남이 사형
            신백정 중심의 농민 반란 발생
1470년  화장의 풍습을 금함
            직전세를 관수관급하게 함
            [경국대전] 교정 완성
1472년  수군의 대립을 금함
1475년  인수대비, [내훈] 3권3책 간행
            [국조오례의] 완성
1477년  부녀재가의 금지를 논함
1478년  서거정, [동문선] 편찬


1481년  서거정, [동국여지승람] 찬진
1482년  폐비윤씨에게 사약을 내림
1491년  여진족, 경흥에 침입
1493년  성현 등 [악학궤범] 완성
1494년  삼포 거주 왜인에 농경세 징수
            쌀값 폭등으로 전국 빈민 봉기
1496년  가묘의 제도 정함
            최부, 명의 수동식 수차 보급

1498년  무오사화 일어남

 

1500년  과부의 재가를 금함

1503년  삼포 거주 왜인수 증가 추세, 제포에만 
             2000여명
            승려의 도성 출입을 엄금
            김감불, 김검동, 은 제련법 발명

1504년  갑자사화 일어남 
            경연폐지
            언문의 교수, 학습 금지
            성현의 [용재총화] 간행
1506년  연산군의 비행 폭로하는 괘서사건 반발 
            중종 반정
1510년  삼포 왜란
            유승조, 조광조 천거

1512년  임신약조 체결
            신사임당의 [화초군첩도] 그림

1516년  승려의 국역 회피 방지 위해 [경국대전]에서 도첩승 조항 삭제

1517년  김안구, [여씨향약] 반포
            욱성사를 비변사로 개칭
1518년  소격서 혁파
            [이륜행실도] 간행
1519년  현량과 실시
            기묘사화 일어남

1522년  서후가 창안한 벽력포를 군기사에서 제작
            비변사 설치

1524년  각지에 상평창 설치, 물가조절 시도
1525년  갓의 형식을 고쳐 정함
            일본 사신이 가지고 온 석류항 2만9천 근의
            3분의 2를 사들임
1527년  최세진, [훈몽자회] 지음

1529년  하삼도의 조운에 사선을 이용
1530년  표류해온 유구국 사람으로부터 한해에 두 번 수확하는 
             벼종자를 얻음

 

1533년  책방 설치 문제를 논의


1537년  모화관에 영은문을 세움
            군포법 실시
1540년  명나라로 가는 사신들이 은을 가지고 가서 
            사무역하는 것을 금지
1541년  비변사를 확충하고 의정부의 삼정승이 
            비변사 제조 겸임
            혼인사치의 금단절목을 정함
1542년  일본에서 은 1만 5천냥 수입, 5년동안 
            단천은광의 채굴 금지
1543년  주세붕, 백운동 서원 건립
            인삼 재배 시작


1545년  을사사화 일어남
1546년  전라, 충청, 경상도에서 정ㄱ적인 장시가 열림
            서경덕, [화담집]을 남기고 죽음
1547년  정미약조 체결

 

1550년  백운동 서원에 소수서원의 편액 하사 
1551년  문정왕후, 양종선과를 다시 설치하고 도첩제 부활
             3승포를 폐하고 5.6승포를 전용, 기민이 급증


1553년  명종, 친정 시작
1554년  비변사, 국방문제 전담
1555년  을묘왜변 발생
            중화기 천. 지. 현. 황자총통 수백대 주조
            [제승방략] 반포
1556년  이황, [주사서절요] 완성, <예안향약> 만듬

1559년  임꺽정 활동 시작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4단7정에 관한 
            서신왕래 시작(~1556)
1560년  이황, 도산서원 건립

1561년  이지함, [토정비결] 지음
1562년  황해도 농민 봉기으 주모자 임꺽정 처형됨
1565년  보우, 제주도에서 장살됨
            <황진이 시조> 간행됨

1568년  조광조를 영의정에 추종, 조식, 성혼, 이항등 특별히 등용
            이황, [성학십도] 지음
1570년  관학 유생들, 김광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의 문묘종사 운동             시작
            왜변에 주효했던 투석이 장려됨
            한성에 백호 출몰, 착호군 편성 호랑이 7마리를  잡음


1572년  이준경, 붕당 조짐 예언, 정가에 파문 발생
            이이와 성혼 사이에ㅐ 4단7정에 관한 서신 왕래 시작(~1578)

1574년  안동에 도산서원 건립
1575년  대마도주, 일본 침략 경고
            동서 담론 일어남

1577년  이이 해주향약 실시 
            경상도 군사, 고된 잡역에 항의, 폭동

 

1582년  제주도에 명나라 사람과 서양인 표착
1583년  승자총통 제작
            이이, 10만 양병설 건의
            이탕개의 침입 격퇴
            송순, [면앙정가] 지음

 

1587년  이순신, 경흥 녹둔도에 진입한 여진족 격퇴
1588년  조헌, 일본과의 관계를 끊을 것을 주장
            일본사신 와서 통신사 요청
            정철, [사미인곡], [속미인곡] 지음
1589년  경상, 전라, 충청도의 방어 강화 위해 수사, 병사,군수 등을
            선발 배치
            정여립 모반 사건
1590년  일본에 통신사 파견
            동인이 남, 북인으로 나누어짐
1591년  통신사 엇갈린 보고 올림
            명에 사신 파견, 일본이 명을 침략할 준비를 
            한다고 통보
1592년  임진왜란 시작
            한산대첩, 진주대첩
            명군, 압록강을 건넘
            서양식 화포 불랑기를 제작
1593년  평양수복
            강화교섭 재개
            한성 수복
1594년  속오군 편성
            역대실록을 해주에서 묘향산으로 옮김
1596년  이몽학의 난 발생
1597년  정유재란
            칠천량 해전에서 원균의 조선 함대 대패
1598년  도요토미 사망 이후 일본군 철수 시작
            이순신, [난중일기] 씀

 

1600      공명첩 발금, 군비 보충
             명나라 군대 철수 완료
1601      대마도의 소오요시도시, 수호 요청
1602      성균관, 문묘, 대성전을 중수

1603      중강에 개시하고 은을 상업세로 징수
             무산보에 국경 무역장 설치 
1604      전란으로 없어진 책을 전국적으로 수집 ....등
1605      유정, 포로 3천명 데리고 귀국
1606      오대산과 태백산에 사고를 재건
1607      부산에 왜관 신축
             허균, [홍길동전] 지음

 

1608   2  광해군 즉위
             선혜청을 두고 경기도에 처음으로 대동법 실시
1609. 6  일본과 국교 재개해 삼포 개항항
1610. 2  대토지 소유자들, 대동법 실시를 반대하는 여론 조성
         9  왜관에서의 밀무역 단속하고 공무역에 대해 세금 징수
1611. 3  성균관 유생들, 정인홍을 [청금록]에서 삭제

1612. 1  호패청에서 호패절목 제정
1613. 4  서인들의 반란
         5  영창대군의 관직을 살탈하고 서인으로 함
         6  인목왕후의 아버지 김제남 사사됨
         8  영창대군을 강화도에 안치함(계축옥사)
             폐모론이 일어남
       12  허준의 [동의 보감], 내의원에서 간행됨
1614. 7  명, 여진정벌을 위해 군사원조 요청
1615. 2  영의정 이원익 파직
             고추 들어옴
1616. 8  부산에서 상인들의 밀무역 단속
             일본에서 담배 들어옴
1617      윤선도 죽음
1618. 1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이라 함
             대북파 정권 장악
         7  후금을 치기 위해 강홍립을 도원수로 하여 1만명을 
             요동에 파견키로 결정
         8  허균, 역모죄로 처형
             군역 도피현상 부쩍 증가
1619. 3  강홍립, 후금에 투항


1620.11  창덕궁 중건
1621. 2   광해군, 비변사에 후금 방비에 최선을 다할 것 지시
         7   명나라 장수 모문룡, 국경을 넘어 서북진에 주둔
1622.10  병기도감에서 조총 900여 자루 , 대포 90문을 제조
             각 고을에 소속된 관노비 대부분이 분산 도피
1623. 3  인조반정
         4  정인홍 처형됨
         9  조익, 대동청 설립의 편의를 건의
             강원. 충청. 전라도에 대동청을 설치
1624. 1  부원수 이괄, 반란 일으킴
             총융청, 어영청 설치
       11  강원도에 대동법을 실시, 상평통보를 유통시킴
1625. 2  이원익, 대동법의 정지를 요청. 호남지방의 대동법 
             실시 중지
         7  호패법 실시를 전국에 공포
       10  동전을 유통시켜 재정부족을 보충하려 함
1626. 3  호패를 차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통제강화
       11  남한산성을 쌓고 수어청을 둠
1627. 1  정묘호란
         4  인조 강화도에 환도
            정봉수의 의병부대, 용골산성에서 많은 적 섬멸
            네덜란드인 박연 등 일행 3명, 제주도에 표착
1628     유성룡의 [징비록] 간행됨
1629. 2  황해도에 명화적 이충경, 한성길 등이 횡행
1630. 3  수군에 속한 노비들을 다시 호조에 소속시켜 신공 징수
         7  명나라와의 교역로를 등주로 결정


1631. 7  정두원, 명나라에서 천리경, 서양포, 자명종 등을 가져옴
         9  훈련도감의 군대 4천여 명으로 증가
1632. 3  후금, 회령에서으 국경무역 요청
1633. 1  척화의 교를 내리고 후금의 침략에 대비케 함.
             임경업을 청북방어사에 임명
         2  최명길, 후금과의 화의 폐기를 반대
        11 상평청에서 상평통보 주전
1634.11 처음으로 상평통보 사용
            각사노비의 신공을 내년부터 동전으로 내게 함
1635. 5  최명길, 상평청 폐지 건의 
         2  경상좌도에서 양전 실시 (등록결수 169675결)
         3  전라좌도에서 양전 실시 (경작지 123260결)
         8  경상, 충청, 전라도의 토지대장에 등록된 토지 총결수              
             89만 5289결이 됨
1636. 2  후금이 보내온 국서를 접수하지 않고 거절
       11  회명길, 청나라와 단교한 것은 잘못임을 상소
       12  병자호란, 인조 남한산성으로 피신
1637. 1  강화도 함락
             인조,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
         4  왕세자 일행, 볼모가 되어 심양에 도착
         5  명나라 연호를 폐지하고 청으 연호를 씀
1639. 2  진휼청을 선혜청에 소속시킴
       12  김상헌, 청에 원조병 보내는 것을 반대


1642.11  청나라 최명길을 구류, 임경업은 도망
1644. 1  소현세자, 심양에서 한성으로 돌아옴
1645. 5  봉림대군 한성으로 돌아옴
       12  김육, 새 역법을 도입할 것을 주장
1646. 3  소현세자빈 강씨 사사됨
         6  임경업 장살됨 (1594- )
         7  호조참판, 대동법을 계속 확대하여 실시할 것을 주장
1647. 5  소현세자의 세 아들을 제조도로 귀양 보냄
1648. 3  천문학자 송인룡을 청나라에 보내 서양 역법을 
             배워오게 함
1649.11  김육, 대동법을 충청도에 실시할 것을 제의
1650. 1  우의정 김육이 대동법을 전국적으로 실시하자고 하자 
             김집 일파가 극력 반대
             김집, 김육과의 불화로 고향으로 돌아감, 김육,
             영중추부사가 된,
1651. 1  김육, 영의정이 됨
         3  평안도와 황해도에 금속화폐를 유통시킴
         8  김육, 호서에서 대동법 시행
1652. 2  선혜청에서 경기의 대동미를 가을부터 돈으로 
             대납시키는 문제를 결정
         3  관상감의 요청으로 천문학관을 연경에 보내 시헌역법을  배워오게 함
         6  어영청을 설치하고 어영군을 둠
1653. 1  다음해 부터 시헌력을 사용키로 함
         7  관서지방에 화폐가 널리 유통
         8  제주목사, 네덜란드인 하멜 일행으 표착 보고
1654. 2  청, 러시아 정벌에 조선 조총병 지원을 요청
         3  충청도에 대동사목 반포


1655. 1  추쇄도감을 두고 전국의 노비를 조사해 강화방비에
             임하게 함
1656. 4  김육, 금속화폐의 유통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제기
1657. 7  김육 전라도에 대동법을 실시할 것을 제의
1658. 3  청나라, 러시아 정벌의 원병을 구함
         5  나선정벌을 위해 조총수 100명 징발
         8  호남의 여러 연해읍에 대동법을 시행
1659. 5  현종 즉위
1660. 3  허목 등 상소하여 복제를 3년설로 주장, 예론논쟁 시작
             명, 작은 고을 20명으로 정함
         4  윤선도, 예론문제로 귀양감
         7  전라도 산간군들에 대동법 실시
       11  재정부족을 메우기 위해 공명첩을 대량으로 발급


1662.10   화전의 폐해가 심함, 전라도 산군에 대동법 시행
1663.  3 호남대동청을 설치하고 전라도의 대동미를 13두로 규정
        10   전라도 유생들, 대동법 폐지를 주장
1664. 6   호남지방에 홍수로 50여 명 익사
1665.12  전라도 산군에 실시하였던 대동법 중지
1666. 9  노비의 신역가를 일부 쌀로 징수
       10  전라도에 유치했던 네덜란드인 하멜 등 7인, 일본으로 도망
1667. 5  노비의 신공을 반 필씩 감함

 

1669. 3  함경도에 천연두가 퍼져 900여명이 사망
1671. 6  기근으로 한성의 쌀 1섬이 은 8냥으로 폭등
1673. 2  왜관으로부터 징수한 은세가 8,139여 냥에 이름
         7  금지했던 가죽제품의 북경무역을 허가
1674. 8  숙종 즉위
         9  진주유생들, 송시열의 예론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
       10  성균관 유생들, 송시려의 예론을 지지하여 진주유생 공격
       12  예론을 재개하여 기년제를 주장했던 관리들을 벌함
             북한산성 수축

1675. 1  송시열, 덕원에 유배
1675. 7  윤휴, 이조판서가 됨
1677. 3  호패법 시행(한성은 3월 1일부터 , 지방은 5월 1일부터)
       11  경상도에 대동법 실시
1678. 4  금속화폐의 전국적 유통 선포
1679. 6  허목, 허적을 논핵
1680. 5  허적, 윤휴 사사됨. 송시열 석방
       11  양인들의 군역회피현상이 심하게 나타남
1683.  1 제언사 당상을 두어 관개수리사업을 관장케 함
         4  남인 숙청을 둘러싸고 서인이 노. 소론으로 분당
         7  경상도의 대동미 1결당 13두를 12두로 경감
1684.12 청나라의 관보를 번역하여 외국의 정보를 수집
1685. 1  황해도 수안, 곡산, 서흥 등지으 조세를 무명으로 징수 
         9  호패를 위조하는 자는 사형에 처함
1686. 1  짐수레를 만들어 시험적으로 운반에 사용
        11 솔잎을 먹는 법을 민간에 널리 주지시킴
1687.12 숙종, 탕평책을 유시함
1689. 1  소의장씨, 희빈으로 승서
         2  세자책봉문제로 노론 실각, 남인집권(기사환국), 송시역 제주도에 유배
         6  송시열 사사
1690.10 장희빈, 왕비에 책봉
1691.12 성삼문 등 사육신에 관작을 다시 주고 시호를 내림
1693. 7  주전을 호조에서 전담키로 하고 사사로이 주조하는 자는
             교수형에 처하기로 함
       11  울릉도에 일본인의 출입을 엄히 단속함
             안정복이 울릉도와 독도의 조선영유권을 일본에 
             확인시킴
             호남유생들이 부안현에 유성원의 서원을 세움
1694. 2  안정복 등 울산어민들이 울릉도에 잠입한 일본어민들을  추방
         3  노론에 의해 남인 몰락(갑술옥사)
         4  폐비민씨를 복위케하고 왕후 장씨를 다시 희빈으로 강등
1697. 1 장길산이 지휘하는 농민군 봉기 
1698. 1 숙종, 탕평책을 지시함

 

 

 

1704. 8  해서의 대동법 시행절목 결정
       12  대보단 완성


1705. 3  숙종, 대보단에서 명의 신종을 제사지냄
1706. 5  황해도지방의 대동법실시 문제를 논의
        10 청에서 [칠정력]을 수입
1708.12 황해도 대동법 실시
1711. 3  북한산성 축성 시작
1712. 5  백두산정계비 세움
1713. 2  중인과 서얼출신에게 죽은 뒤에 벼슬을 주는 규정 만듦
1716.10 병신처분, 노론 승리
1717. 5  윤선거, 윤증 부자의 관작 추탈
1720. 2  한성의 무녀를 쫑아내라는 명령 중지시킴
         6  경종 즉위
1721. 4  관상감에 혼천의를 만들도록 지시
1723. 3  평안도 자산에서의 금채취 금지
1724. 1  금속화폐 주조 허가
         8  영조 즉위
       12  서얼 200여명이 차별대우 철폐를 요구
1725. 1  영조, 붕당의 폐해를 하교
         3  노론 4대시느이 관작 회복
         5  재정난으로 공명첩 1000매 발급
1726. 5  한성의 일반 상인들, 점포설치를 허가해 줄것을 요구
1727. 3  세미를 늘리기 위해 물에 불리는 것을 엄금
         8  전라도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남
         9  여러 도에서 무명으로 징수하던 세의 절반을 돈으로 
             징수
1728. 1  서소문에 괘서사건 발생
         3  이인좌 등 반란 일으킴
1729. 6  오가작통법 및 이정법을 개정하여 통제 강화

1730. 5  수어청에 명하여 총을 만들게 함
       12  노비종모법 시행
1732.11 개인의 하폐주조 엄격히 단속
         5  충청도에서 환자곡에 의한 착취가 심함
1733. 3  평안도에서 농업을 포기하고 상업에 종사하는 상인이 
             증가
1735     대동미 전부를 무명으로 받던 규정을 폐지하고 돈과 
            무명으로 절반식 받음

1736.12 난전의 상품을 현장에서 압수하는 것을 금함
1738. 1  영조, 권농의 윤음 내림
1739. 6  노비의 신공을 바치게 하는 법을 엄수케 함
         9  노론파 관료들 다시 등용
1740. 2  각지방의 도량형기를 통일시키도록 함
         4  새로운 수차를 충청, 전라 경상도에서 시험적으로 사용
1742. 3  탕평비 세움
         4  화폐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민간의 놋그릇을 수집하여   
             화폐주조문제 논의
1743. 7  양인군역을 규정한 [양역실총]을 간행하여 반포
1745. 7  군포 2필을 1필로 감함
       12  평안도의 쌀과 조 30만섬을 호조에 넘겨주어 재정 보충
1747. 5  영남 7읍의 전세를 화폐로 받음
1748.11 경기도 마전지역 난민들의 수어청 둔전의 곡물을 탈취함
1749. 2  충주에서 도둑들이 운반중에 있는 군포 탈취
1750. 2  군문의 군사들이 수공업제품을 만들어 팔다가 
            시전상인들과 충돌
         5  영조, 홍화문에 나가 백성들의 양역변통에 대한 여론 
             수집
         7  균역청을 설치하고 균역법을 실시
1752. 1  병조판서 홍계희, [균역사실]의 책자 올림
1753. 1  공인의 폐단 엄금
1754. 2  과거시험을 보는 장소에 책과 따라가는 사람의 입장을 금함
1755. 2  나주에서 괘서사건이 일어나 윤지 등 처형
            중앙관청 소속 노빌의 신공을 반필 씩 줄임
       11  죽령 및 5개현의 전세를 화폐로 징수

1756. 1  가체를 금하고 족두리를 쓰게 함
1757. 5  난장형을 금하고 지방세서는 태형만 가할 수 있도록 
             규정
1761. 8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형 금지
1762. 5  왕세자, 뒤주 속에 갇혀 굶어 죽음
             세자의 위호를 히복케 하고 '사도'라고 함
         7  각도에 향전이 성행하여 이를 금함
1763.    통신사 조엄. 대마도에서 고구마 종자를 가지고 옴
1764.10 장예원 혁파
1771. 2  평안도에서 관청고리대 빚 30만냥을  강제 회수
         7  매간매직 현상이 횡행
       11  신문고 다시 설치
1772. 3  서얼소통법 시행
       12  경상도 서얼 3천여명이 [청금록]에 올려 줄 것을 요구
1774. 4  첩 자식의 상속권 인정
1775.     삼남지방에서 환곡 대신에 돈으로 징수하는 전황의 
             폐단이 심함
1776. 3  정조 즉위
1777.12 교서관을 규장외각으로 함
1778. 2  노비추쇄관을 폐지
1781. 1  사상의 매점행위와 난전으로 시전상인과 공인들이 몰락
1782. 4  상인들의 매점행위로 한성의 쌀값이 폭들
1783.11  함경도 각사노비, 관노비의 납속 속양을 승인
1784. 3  전황이 심하여 관청의 돈 10만냥을 공물값으로 지출
             이승훈, 연경에서 천주교 관련 서적을 가지고 귀국       
             이벽, 권철신, 권일신 등, 이승훈에게 세례받음

1785. 1  한성에 천주교 교회 창립(진고개 김범우의 집)
         3  천주교도 처형됨 (서학의 옥)
1786.11 동 100만냥을 주조하도록 명령
1787. 1  개성상인들이 종이를 매점해 밀수출
         5  프랑스 함대 페루즈 일해 제주도를 측량하고 울릉도에 접근함
1788. 1  개성상인들의 종이 밀무역과 한성난전 엄히 단속
         2  채제공, 우의정이 됨
            영남지방에 목화 흉년으로 지세를 목화대신 돈으로 징수
1789. 7   사도세자 묘를 수원으로 옮김
1789.12  한강에 주교 사설
1790. 3  정약용, 해미현으로 유배
1791. 2  시전의 특권을 없애고 자유매매를 허가한 신해통공 공포
        10  천주교 관계서적의 수입 금함
         11 호남 진산군의 천주교도 윤지충, 권상연 등을 처형
              (신해교난)
1792.10  북경주교 구베아, 교황 비오6세에게 조선교회창설을 
              보고
        12  삼남지방의 목화흉년으로 대동목을 돈으로 징수


1794. 1  수원성 쌓기 시작
1795. 5  주문모 도망. 윤유일. 최인길은 처형
         6  한성의 쌀값 폭등
1797. 6  정약용, 자신의 서학오염을 인정하고 승지 사직소 올림
1797. 8  경사. 전라. 황해도 지방에 목화 흉년으로 군포 대신 
            돈으로 징수
1797. 9  영국 배 흐로비던스 호가 동래부에 표착
1799. 5  조정대신들, 서학확대에 대한 대책 논의

 

 

1800.   1 서얼소통 시행
          2  신유사옥
          7  순조 즉위, 정순왕후 대리청정 함
1801.  1   홍국영의 관직 삭탈
               천주교도 색출방법으로 5가 작통법 시행
               공노비 혁파
          2   신유박해(권철신, 이승훈, 이가환 등 처형)
          3   주문모 신부 자수(4월에 처형)
          9   황사영 백서사건
         11  정약용, 강진으로 귀양, 정약전, 흑산도로 귀양,               
                황사영 처형
1802.   1  장용영 폐지
1804. 12  사창제를 양남, 양서에 실시
1805.   1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시작(- 1860)
              삼남지방과 영동지방의 대동포를 돈으로 대신 징수
1806. 12  채금매점으로 개인경영 금광업이 전국적으로  
              활발해  짐
1808.   1 함경도 북청, 단천에서 농민봉기
           2 금난전권 폐지
1809.   6 경강상인들의 농간으로 곡가 상승
1811.   2 평안도 곡산에서 농민봉기
           3 천주교 금지령 강화
           5 한성에 도적 횡행
         12 홍경래 등이 지휘하는 봉기군, 가산 군수 살해  (12.18)


1812.   1 관군, 봉기군 진압하고 곡산 수복
           6 황해도, 평안도의 양반을 관리로 등용해 민심 회유
1813.  11 제주도에서 토호 양제헤 등이 주도해 농민 봉기
1814.   1 홍경래의 봉기 당시 죽은자들을 위해 '충의단' 세움
           5 한성에서 곡가 상승으로 폭동 일어남
         10 한성 쌀값 계속 오름(쌀 한 섬값 12냥으로 예전의 
              2배)


1815.   2 충청, 강원도의 천주교 탄압(을해교난)
           6 경상도 천주교도 300여명 검거
1816.   7 영국 군함 충청도에 옴
          11 대구에서 천주교도 29명 순교
1820.   8 선혜청 관리들이 50여만 냥의 세금 포탈
1821.   5 금위영과 어영청의 상번을 5년간 중지하고 그 
              대신 쌀과 돈으로 세금 징수
1823.   7 경기도를 위시한 5도의 유생들, 만인소를 올려 
             서얼의 임용 용청
         11 비변사, 서얼허통절목 제정
1825.   9 정하상 등, 로마교황에게 서한을 보내 조선
              천주교도의 고난을 알림
1826.   1 도량형 문란해짐
           9 정주성에 홍경래가 살아있다는 괘서 나타남
1827.   2 곡성에서 교난(정해교난)
           3 초산의 주민들, 부사의 탐학을 우의정에게 호소
           8 전국 각지에서 천주교도 수백 명 체포
1829.   8 한성의 상인들, 연안 강령포에서 조운선 습격해 
               1만냥 탈취
           9 강계지방의 산삼공물을 화폐로 징수(산삼1냥을 
               화폐 80냥으로)


1831.   9 로마 교황청, 조선교구 승인
1832.   6 영국상선 로드암허스트 호, 황해도 몽금포 앞바다에
               나타나 통상 청함
          11 상인들의 독점으로 한성 쌀값 폭등
1833.   3 한성의 쌀값이 폭등하여 도시빈민들의 쌀폭동이
              일어남
           4 황해도 재령지방의 소작인들이 소작료 납부를 거부
          12 삼남지방에 목화 흉년으로 대동포를 대동미로 징수


1834.  11 헌종 즉위, 순원왕후 김씨 수렴청정
1835.   7 서북인을 등용함
1836.   9 삼남지방에서 군포를 화폐로 징수
1837.   5 충청도 대흥군에서 집권자들의 죄행을 폭로한 
              괘서 사건 발생
1839.   3 천주교도 40여명 체포
           7 앙베르주교, 샤스탕 신부 등 처형
           8 유진길, 정하상 등 다수 천주교도 처형
           9 천주교도 물색 위해 오가작총법 강화
1840.   3 죽산부민 봉기해 부사 살해
         12 풍야조씨의 세도정치 시작
1841.   9 경주부민 수백명, 경주부의 환곡포탈사건을 들고 
              연일 복궐상소
         10 황해도 연안 등 12개 군현에서 군포의 절반을 
              화폐로 징수
1845.   6 영국군함 , 제주도와 전라도 서남해안 측량
           7 조정, 영국군함의 행위에 대해 중국 광동의 
              영국당국에 항의 
           8 훈련도감에서 무기 제작



1846.   5 김대건 체포(7.26순교)
1846.   6 프랑스 해군소장 세실, 천주교 탄압을 구실로 
              군함 3척을 이끌고 침입
1847.   1 서양 직물의 수입증가로 국내 백목전상인의 
              경영난이 심각해짐
1848.   4 외국군함의 연해 침입에 대한 해안경비 강화
1848.   6 이양선이 함경도 앞바다에 나타남
1850.   2 이양선 1척, 강원도 울진해안에 나타나 발포하여 
              군민 살상
1851.   9 안동 김씨 세도정치 재개(김문근의 딸을 왕비로)
1852.   4 흉년으로 삼남지방에서 방곡조치를 금지하도록 요구 
           6 함경도민의 외국선박과의 교역 금함
1855.   6 강원감사, 통천군에 미국인 4명이 표류됨을 보고 
              영국 군함 독도 측량
              프랑스 군함 동해안 측량
1856.   7 프랑스 군함, 충청도에서 가축 약탈
           8 이양선, 풍천에서 가축 약탈
1858.   8 한성에 도둑 횡행
1859.   4 서원의 신설 금함
           5 영국 배, 동래에 출몰해 통상 요구
          11 일본, 서양국가에 대해 개국하였음을 통고해옴
1860.   9 돈의문에 괘서사건
1862.   2 지방관리들의 봉급을 감함
              진주에서 농민 봉기 
           4 익산. 개령, 함평 등에서도 농민봉기
           5 삼남지방으로 농민봉기 확산
              삼정이정청 설치
           8 삼정이정청 폐지
         10 삼정에 관한 옛 법규 복구
              제주, 함흥, 광주에서 농민 봉기
1863.   1 세금을 함부로 징수하지 못하게 함
          11 동학교주 최제우 체포
          12 고종 즉위, 흥선군 이하응 정국 장악
               서원 철폐  단행
1864.    2 비변사와 의정부의 사무한계 규정
            3 동학교조 최제우, 혹세무민죄로 처형(1824-)
               삼군부 설치
1866.    1 천주교서책의 소각과 오가작통법의 강호를 시달
               다수의 천주교 신부, 신자 처형
            3 경복궁 중건 공사장에 화재
            7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 평양에 정박해 양곡을 
               약탈하며 총기난사
               평양군민, 셔어먼호 방화
            8 척사윤음 반포
               프랑스함대 경기도 앞바다에 도착(병인양요)
            9 프랑스군, 강화부를 점령하고 방화와 약탈을 자행
          10 양헌수 부대, 강화도 정족산선에서 프랑스군 격퇴
          11 금위영에서 당백전을 주조케함
1867.  11 경복궁 근정전 완공
1868.    1 권농윤음 반포
            4 독일상인 오페르트 , 남연군 묘 도굴하다 발각
          10 최익현, 토목송사 중지, 당백전의 폐지, 문세 
                중지를 상소
1869.    3 전라도 광양현에 농민봉기
            7 건여도감, 대원군의 명에 따라 전국에 원납전
                납입을 독촉

1871.    3 서원철폐 지시
               양반, 상민 불문하고 호포징수
            4 미국송사 로저스 5척의 군함이끌고 광성진 점령
               (신미양요)
               어재연 부대, 초지진에서 싸우다 전사
            8 이필제, 봉기 주도하다 체포
1873.  10 도성의 문세 폐지
          11 최익현, 대원군 탄핵. 국왕, 내용이 과격함을 
              이유로 유배를 명함 
              국왕 친정선포(대원군 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