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을보다/불교자료

[가람]불전의 구분

 

  1. 불전

   가. 대웅전, 대웅보전

   나. 비로전, 대적광전, 화염전

   다. 약사전, 유리광전

   라. 극락전, 아미타전, 무량수전

   마. 천불전

   바. 보광전, 보광명전

   사. 적멸보궁

   아. 영산전, 팔상전

  2. 보살전

   가. 관음전, 원통전

   나. 미륵전, 용화전

   다. 명부전, 지장전

   라. 문수전

 3. 문루

   가. 일주문

   나. 사천왕문

   다. 불이문

   라. 보제루

 4. 기타 전각  

   가. 조사당

   나. 칠성각, 산신각, 독성각

   다. 강당

   라. 승당

   마. 기타


 

[불전 佛殿]

사찰에서 부처님을 모신 집

본존불과 보살·호법신장 등을 함께 봉안하는 사원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인도에서는 부처님을 금빛 나는 분이라는 뜻에서 금인(金人)이라고 하였는데, 이에 비롯되어 삼국시대(우리나라)에는 부처님을 모신 집을 금당(金堂)이라고도 하였다. 불탑과 함께 가람의 중심적인 시설이다.


사찰에 따라서 중심 법당의 이름이 서로 다른 것을 볼 수 있는데, 불교 발전과 더불어 발생한 여러 종파가 그들이 의거하는 경전과 교리 등에 따라 예배 대상인 주존불(主尊佛)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는 화엄종(華嚴宗) : 비로자나불을 봉안하는 대적광전

-. [무량수경]과 [아미타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는 정토종(淨土宗) : 아미타불을 모시는 극락전, 무량수전(無量壽殿)

-. [묘법연화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는 천태종(天台宗) : 석가모니불을 모시는 대웅전



가. 대웅전(大雄殿), 대웅보전(大雄寶殿)

 : 대웅보전은 대웅전보다 격상된 전각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양평 용문사 대웅전]


-. 주존불 : 석가모니불

-. 대웅(大雄) : 법화경에서 대웅은 '마하비라'라는 부처님의 덕호(德號)로 부처님의 큰 힘이 있어 사마(四魔)에게 항복을 받았으므로 대웅(大雄)이라 한 것.

-. 가람의 중심이 되는 전당

-. 수미단(須彌壇) : 불상을 안치하는 단

-. 신중단 : 신중(神衆)을 모시는 단 

-. 영단 : 영가(靈駕)를 모시는 단

-. 각 단마다 해당 탱화를 모시고 불구(佛具 : 촛대와 향로)

 

-. 본존불 : 석가모니불

-. 협시불(脇侍佛) : 대웅전 - 문수보살, 보현보살(일반적인 형태)

                           대웅보전 - 아미타불과 약사여래 조합 (격상된 형태)

 

 

[통도사 대광명전 비로자나후불탱 1759년]

 

-. 문수보살 :위 탱화의 중심 아래 오른쪽 협시불이 문수보살이시다. 본존불(석가여래)의 위치에서 왼손아래쪽에 서시며 지혜로 중생의 번뇌를 끊어주신다. 문수보살은 중국의 산시성 우타이산(五臺山-오대산)에 1만 보살과 함께 계신다고 하며, 우리나라는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에 있다고 하신다. 상원사의 주존불이 유일하게 문수보살이시다.

 

-. 문수신앙 : 자장율사(신라)에 의해 당에서 수용되어진다. 당에서 유학하던 자장율사는 중국의 청량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시고 '신라의 오대산에는 일만의 문수 보살이 거주하고 계시다.'는 계시를 받고 귀국 하게 된다. 한국 불교사상속에 깊은 뿌리를 갖고 있지만 관음보살처럼 독자적인 전각을 가지는 형태로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주로 오른손에는 지혜를 상징하는 칼과 왼손에는 꽃위에 지혜의 그림이 있는 청연화(靑蓮花)를 쥐고 있는 형태이다. 사자를 타고 있는 것은 위엄과 용맹을 나타낸 것.

 

-. 문수보살의 일화 : 세조가 종창으로 고생을 하다 오대산의 문수도량인 상원사에서 병을 고치고자 하여 하루는 목욕을 하는데 지나가는 어린아이에게 등을 밀게 하였다. 목욕이 끝난 후 세조는 동자에게 왕의 등을 밀었다고 하지 말라고 하자, 동자는 문수동자를 친견하였다고 하지 말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고 한다.

 

 

-. 보현보살 : 문수보살과 함께 일체보살의 으뜸으로 본존불의 위치에서 우측협시불로 자비와 이치를 상징하며 ‘삼만다발다라(三曼多跋陀羅)’ 또는 ‘필수발다(邲輸跋陀)’ ‘편길(徧吉)’ 로 불리시며, 중생제도와 중생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졌다하여 보현연명보살 또는 연명보살로도 불리신다.

 

-. 법화경에서 보현보살 :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하사한 동방보위덕상불(東方寶威德上佛)의 땅에 이르러 부처가 열반에 든 후에 법화경을 호위할 것을 맹세하고 하얀코끼리를 타고서 인간세상의 온갖 해악을 제거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코끼리를 탄 모습 외에 밀교에서는 연화좌 위에 칼을 쥐고 앉아 있는 형상이 있다.

 

편집중